[4.13] 네트워크 - IP와 Port에 대한 이해
1.netcat - 서버 역할을 하는 프로그램을 쉽게 만들어주는 툴
( -> scoop으로 install 해줬다. )
파워쉘 or 도스창 켜서 > nc -L -p 7777
2. telnet - 원격접속화면 프로그램 : Client 역할로 수행
(제어판 - 프로그램 기능 - 왼쪽에 기능 켜기/끄기 -
아래 내려서 telnet client 체크)
새로운 파워쉘 or 도스창 켜서
> telnet <IP주소> <port>
> telnet <enter>
telnet> open localhost 7777
http://127.0.0.1:7777
3. IP주소
- 내가 가진 PC(노트북, 태블릿, 스마트폰 등)의 주소
- 비유: ~시 ~APT 1100동까지의 의미!
지정된 IP주소를 가진 PC까지는 도달가능하게 하는 주소
<ip주소 확인>
- > ipconfig (for windows)
> ifconfig -a (for Mac/Linux/UNIX)
ip addr show
- XXX.XXX.XXX.XXX : 4개의 숫자와 구분자(.)로 구성 (ver4)
0<= XXX <= 255
4. Port 번호
- 비유: XXX 호수의 의미
5. 내PC가 네이버의 PC에 접속되려면,
(1) 네이버PC까지 도달가능하려면 --> IP주소
(2) 네이버PC의 OS위에 특정 서버프로그램 --> Port 번호 필요
https://www.naver.com/
6. DNS(Domain Name Service) 서비스에 대한 이해
- 도메인명 -> IP주소로 변환
- IP주소 -> 도메인명으로 역변환
> nslookup (for Mac/Windows/Linux)
> host www.naver.com (for Mac)
7. 네트워크 방식
가. 유선 네트워크
나. 무선 네트워크
8. 지정된 IP주소에 도달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어야 함!
> ping <IP주소>
9. 지정된 IP주소와 Port 번호까지 두개를 동시에 확인하는 방법:
> telnet <IP주소> <Port번호>
* 한번 연결되면, 빠져나갈 때에는, Control+ ] 를 눌러야 함
telnet> quit
10. 인터넷(InterNet - Inter-Networking)
> 전 세계의 수많은 PC 및 장비들이 유/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거대한 네트워크
11. WWW(World-Wide Web): W3
> 인터넷을 기반으로, 그 위에서 제공되는 수많은 서비스 중에 "하나" 일 뿐!
> 특히, 정보의 제공(Web 1.0)과 상호작용(정보의 제공 -> Web 2.0)을 목적으로 하는 서비스